본문 바로가기

코어라인소프트 주가 전망 재무 분석 25.4

캐피털44 2025. 4. 29.

 

코어라인소프트 주가 실적 재무 분석 - 진단과 전망

의료 AI 솔루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코어라인소프트(384470)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시작하겠습니다.

투자 결정에 앞서 기업의 현재 주가 상황, 실적 추이, 그리고 재무 건전성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본 분석은 코어라인소프트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되며,

투자자 여러분의 합리적인 판단을 돕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코어라인소프트 - 현황과 주가 흐름 분석

현재 주가 및 시장 위치

 

2025년 4월 9일 기준, 코어라인소프트의 종가는 5,410원으로 전일 대비 200원(-3.56%)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습니다.

이는 52주 최고가인 15,390원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며, 52주 최저가인 5,250원에 근접한 상태입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695억 원 수준으로, 코스닥 IT 서비스 및 건강관리 업종 내에서 회사의 시장 가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변동성 및 수익률 추이

최근 코어라인소프트의 주가 흐름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1개월 수익률-33.62%에 달하며, 3개월 -15.47%, 6개월 -35.52%,

그리고 1년 수익률-63.17%로 나타나 상당한 하락세를 경험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변동성뿐만 아니라, 기업 내부적인 요인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반영된 결과일 수 있습니다.

높은 52주 베타값(2.24) 역시 시장 대비 주가의 높은 변동성을 시사합니다.

시장 지표 (PER, PBR) 분석

현재 코어라인소프트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최근 결산 기준 주당순이익(EPS)이 -1,107원으로 적자를 기록함에 따라

'N/A'로 표시됩니다. 이는 현재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가 고평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8.95배로 나타났습니다.

주당순자산(BPS)이 286원임을 고려할 때, PBR 수치는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이는 시장이 회사의 현재 자산 가치보다 미래 성장 가능성에 훨씬 더 큰 기대를 걸고 있음을 시사하지만,

동시에 주가가 자산 대비 매우 고평가되어 있다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기업 실적 심층 분석 - 숫자로 보는 현실

매출 동향 - 성장 정체

 

코어라인소프트의 연간 매출액을 살펴보면, 2022년 41억 원에서 2023년에도 41억 원으로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2024년 결산 기준 매출액39억 원으로 소폭(-4.18%)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매출 성장이 정체되거나 다소 후퇴하는 양상은 기업의 성장 동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과연 일시적인 숨 고르기일까요, 아니면 성장 한계에 직면한 것일까요

연도 매출액(억 원) 증감률(%)
2022 41 -
2023 41 0.00
2024 39 -4.18

수익성 분석 - 지속되는 적자의 무게

 

매출 정체보다 더 우려스러운 부분은 수익성입니다.

영업이익은 2022년 -102억 원, 2023년 -117억 원, 2024년 -138억 원으로 적자 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기순이익 역시 2022년 -102억 원, 2023년 -141억 원, 2024년 -141억 원으로 대규모 손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 원가 관리 및 판관비 통제의 어려움을 시사하며, 기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질문을 던지게 만듭니다.

주당순이익(EPS) 또한 -970원에서 -1,184원, -1,107원으로 마이너스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연도 영업이익(억 원) 당기순이익(억 원) EPS(원)
2022 -102 -102 -970
2023 -117 -141 -1,184
2024 -138 -141 -1,107

분기별 실적 추이와 컨센서스

 

분기별 실적을 보더라도 뚜렷한 개선세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2024년 분기별 영업이익은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했으며 (-34억, -32억, -34억, -37억),

당기순이익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31억, -31억, -36억, -44억).

아쉽게도 현재 시장의 2025년 실적 추정치(컨센 SYMBOLS)는 제공되지 않아

미래 실적에 대한 객관적인 전망을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최근 3개월간 증권사에서 발표한 투자의견이나 목표주가 역시 부재한 상황입니다.

2024년 분기 영업이익(억 원) 당기순이익(억 원)
1분기 -34 -31
2분기 -32 -31
3분기 -34 -36
4분기 -37 -44

재무 건전성 평가 - 위험 신호는 없는가

자산, 부채, 자본 구조 변화

코어라인소프트의 재무 상태표를 보면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변화가 관찰됩니다.

자산총계는 2023년 159억 원에서 2024년 247억 원으로 +55.3%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부채총계가 42억 원에서 210억 원으로 매우 큰 폭으로 +400.0% 증가한 반면,

자본총계는 117억 원에서 37억 원으로 -68.4% 급감했습니다.

이는 재무 구조의 안정성이 크게 약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역시우려스러운 부분이죠.

구분 2023년(억 원) 2024년(억 원) 증감(%)
자산총계 159 247 +55.3
부채총계 42 210 +400.0
자본총계 117 37 -68.4

현금 흐름 분석 - 유동성 확보 능력은

기업의 실제 현금 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022년 -88억 원, 2023년 -103억 원, 2024년 -108억 원으로 지속적인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된 영업 활동을 통해 현금이 계속 유출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외부 자금 조달이나 투자 유치 없이는 운영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과 재무활동현금흐름의 변동성 또한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금흐름(억 원) 2022 2023 2024
영업활동현금흐름 -88 -103 -108

주요 재무 비율 (ROE, 부채비율) 점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22년 -146.23%, 2023년 -202.85%, 2024년 -183.92%로 극심한 마이너스 상태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입된 자기자본 대비 큰 손실을 내고 있다는 의미로, 주주 가치 훼손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줍니다.

부채비율은 2023년 35.46%에서 2024년 573.15%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재무적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높아져 이자 비용 부담 증가 및 채무 불이행 위험 상승 등

재무 안정성에 심각한 빨간불이 켜졌음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재무비율 2022 2023 2024
ROE(%) -146.23 -202.85 -183.92
부채비율(%) - 35.46 573.15

투자 관점 및 전망 - 기회 요인과 위험 요인은 무엇인가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

코어라인소프트는 AI 기반 의료 영상 분석 솔루션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폐 질환 관련 진단 보조 솔루션 등은 향후 고령화 사회 및 정밀 의료 시장 확대에 따라 성장 잠재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만약 회사가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매출 증대와 수익성 개선을 이루어낸다면,

현재의 높은 PBR을 정당화하고 주가 반등의 모멘텀을 마련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재무적 위험 요인 재확인

하지만 현재로서는 재무적 위험 요인이 매우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대규모 적자, 악화되는 현금 흐름, 그리고 급증한 부채비율은 기업의 존속 능력 자체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합니다.

이러한 재무적 불안정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기술적 잠재력만으로는 투자 매력도를 높이기 어렵습니다.

향후 유상증자 등 자본 확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는 기존 주주들의 지분 가치 희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 유의사항 및 결론

 

결론적으로 코어라인소프트는 의료 AI라는 유망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현재 심각한 재무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높은 PBR은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지만, 지속적인 적자와 불안정한 재무 구조는 상당한 투자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어라인소프트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시는 분들은 회사의 기술 경쟁력과 시장 성장성뿐만 아니라,

재무 구조 개선 및 수익성 확보 가능성을 매우 신중하고 보수적으로 평가해야 할 것입니다.

 

제 투자의견은 보류입니다. 

향후 발표되는 실적 및 재무 관련 공시들을 면밀히 주시하며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권고합니다.

- 본 분석은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추천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 모든 투자 결정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