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풍선 주가 전망 기업분석 25.5

노랑풍선 기업 분석: 주가, 실적, 그리고 미래 전망 분석
여행의 설렘을 안겨주는 이름, 노랑풍선은 대표적인 여행 기업 중 하나입니다.
과연 노랑풍선은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힘차게 비상할 수 있을까요?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노랑풍선의 현재 기업 가치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노랑풍선, - 기업 개요 및 현황

사업 영역과 시장 내 위치
노랑풍선은 2001년 설립된 종합 여행사로서, 패키지여행 상품을 중심으로 항공권, 호텔 예약 등 다양한 여행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합리적인 가격의 패키지 상품으로 대중적인 인지도를 확보하며,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 대형 여행사들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변화하는 여행 트렌드에 발맞춰 개별 자유여행(FIT) 시장 공략에도 힘쓰는 모습입니다.
2025년 최근에는 고객의 여행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상품을 고를 수 있는 신상품 기획전을 오픈하여
다양한 여행지와 체험형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가 흐름과 주요 지표 현황

2025년 4월 9일 기준, 노랑풍선의 주가는 4,45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전일 대비 2.94% 하락한 수치입니다.
최근 1년간 주가 흐름을 살펴보면, 52주 최고가는 8,000원,
최저가는 4,150원으로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왔습니다.
주요 지표 | 2025년 4월 기준 |
---|---|
시가총액 | 약 705억원 |
주당순이익(EPS) | -299원 |
주가수익비율(PER) | N/A |
주당순자산(BPS) | 2,292원 |
주가순자산비율(PBR) | 1.94배 |
업종 평균 PER이 16.01배인 점을 감안하면, 현재로서는 수익성 개선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아쉽게도 현금 배당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지배구조 - 누가 이끌고 있나

노랑풍선의 주요 주주는 고재경 외 15인으로, 총 38.3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비교적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발행주식수는 약 1,584만 주이며, 이 중 약 61.13%가 유동 가능 주식입니다.
외국인 지분율은 2.29%로 아직 높은 수준은 아닙니다.
노랑풍선 재무 상태 심층 분석 -
실적 롤러코스터 - 흑자와 적자 사이

노랑풍선의 최근 몇 년간 실적은 그야말로 롤러코스터를 탔습니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2022년에는 매출 220억 원에 영업손실 209억 원,
당기순손실 241억 원이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연도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
2022년 | 220억 원 | -209억 원 | -241억 원 |
2023년 | 986억 원 (↑348%) | 66억 원 | 59억 원 |
2024년 | 1,319억 원 (↑33.77%) | -65억 원 | -47억 원 |
2025년 전망 | 약 1,400억 원 (↑6.14%) | 흑자 전환 노력 중 | 미정 |
엔데믹 전환과 함께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2023년에는 극적인 반전을 이루어냈습니다
매출은 무려 986억 원으로 348% 급증했고,
영업이익 66억 원, 당기순이익 59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실적은 다시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매출액은 1,319억 원으로 전년 대비 33.77% 증가하며
외형 성장은 지속했지만, 영업손실 65억 원, 당기순손실 47억 원을 기록하며 다시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2025년의 경우,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인 연간 약 1,4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노랑풍선 내부에서는 2025년 초에 완전한 회복기를 맞아 흑자전환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분기별 실적 - 회복의 시그널은 아직

2024년 분기별 실적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아쉬움은 더 커집니다.
1분기 4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긍정적인 출발을 보였으나, 2분기 -65억 원, 3분기 -24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2분기 적자의 경우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로 인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4분기 역시 -17억 원의 영업손실이 예상(잠정치 기준)되며 연간 적자 전환의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2025년 1분기 역시 뚜렷한 흑자 전환 시그널이 보이지 않는다면, 실적 개선에 대한 우려는 지속될 수 있습니다.
재무 건전성 지표 -

재무 지표 | 2023년 | 2024년 | 변화 |
---|---|---|---|
부채비율 | 161.31% | 269.07% | ↑107.76%p |
자기자본이익률(ROE) | 16.22% | -12.38% | ↓28.6%p |
자본유보율 | 미공개 | 329.90% | - |
재무 건전성 지표에도 변화가 감지됩니다.
2023년 말 161.31%였던 부채비율은 2024년 말 269.07%로 상당히 높아졌습니다.
이는 외형 성장을 위한 투자나 운영 자금 확보 과정에서 부채가 증가했음을 시사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역시 2023년 16.22%에서 2024년 -12.38%로 급락하며
수익성 악화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자본유보율은 329.90%로 아직 일정 수준의 내부 유보 자금은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금 흐름 - 영업 활동은 긍정적

현금 흐름표를 살펴보면, 2024년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185억 원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매출 증가에 따른 선수금 유입 등의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50억 원,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118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잉여현금흐름(FCF) 역시 166억 원으로 긍정적인 수치를 보였으나,
이는 영업활동 호조보다는 투자 축소 영향도 있어 보입니다.
노랑풍선 주가 전망 및 투자 전략
업황 전망과 노랑풍선의 성장 동력

엔데믹 이후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4년 해외여행 출국자수는 2868만명으로 2019년(2871만명)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특히 개별 자유여행(FIT) 비중이 높아지는 트렌드는 노랑풍선에게 기회이자 위협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노랑풍선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테마 상품 출시와 판매채널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TV홈쇼핑 및 라이브커머스 등을 통해 다채로운 상품을 선보이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고객의 여행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상품을 고를 수 있는 신상품 기획전을 오픈하여, 동남아, 일본, 중국, 미주/남태평양, 유럽, 국내 등 요즘 뜨는 여행지부터 최신 숙소, 신규 취항된 항공 노선 등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
하지만 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높은 수준의 환율과 유가는 여행 경비 부담을 높여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입니다.
특히 일본 여행의 경우, 엔화 강세로 '슈퍼엔저' 효과가 약해지고 있는 점이 우려됩니다.
또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역시 소비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 대형사 및 야놀자, 여기어때 등 OTA(Online Travel Agency)와의
경쟁 심화는 수익성 개선에 계속해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2024년 발생한 티메프(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와 같은 예상치 못한 외부 변수는
기업 이익에 직격탄이 될 수 있습니다. 노랑풍선은 이로 인해 상당한 대손 처리를 해야 했으며,
이는 2024년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기술적 분석 - 현재 주가는 매력적인가
현재 노랑풍선의 주가는 52주 최저가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단기적인 반등을 시도할 수 있는 구간으로 볼 수도 있지만,
아직 뚜렷한 상승 추세 전환의 신호는 보이지 않습니다.
거래량 역시 크게 활발하지 않은 모습입니다.
이동평균선들은 역배열 상태를 보이고 있어,
추세적인 상승을 논하기에는 다소 이른 감이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심리가 위축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투자 전략 제언 - 신중한 접근
안타깝게도 최근 3개월간 증권사에서 제시한 노랑풍선에 대한 투자의견이나 목표주가는 없습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도 현재 노랑풍선의 실적 및 주가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2024년 실적이 다시 적자로 전환했고, 2025년 실적 컨센서스 역시 부재한 상황입니다.
다만 노랑풍선 내부에서는 2025년 초에 완전한 회복기를 맞아 흑자전환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려되는 부분은 2019년 코스닥에 상장한 노랑풍선이 2024년 3월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었다는 점입니다.
다행히 이후 매출 증가로 관리종목에서는 벗어났지만, 지속적인 흑자 전환 실패 시 상장폐지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노랑풍선에 대한 투자는 다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에 기댄 투자보다는, 향후 발표될 분기 실적을 통해 뚜렷한 턴어라운드 시그널을 확인하고 접근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일 수 있습니다.
노랑풍선, 기대와 우려 사이

노랑풍선은 2023년 극적인 흑자 전환을 통해 회복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2024년 다시 적자를 기록하며 아직 완전한 비상에는 시간이 필요함을 시사했습니다.
2025년에는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인 1,40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수익성 개선 여부는 지켜봐야 할 사항입니다.
현재로서는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 단기적인 주가 등락보다는
기업의 본질적인 경쟁력 강화와 실질적인 실적 개선 여부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신중하게 접근하시기를 권고드립니다.
노랑풍선이 다시금 힘찬 날갯짓을 할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를 주목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최신 기업 소식
✓ 2025년 5월 기준 노랑풍선은 신상품 기획전을 오픈하여 고객 취향에 맞는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4년 11월 일본 현지 법인(YBJ, YELLOW BALLOON JAPAN)을 설립하여 글로벌 사업 확장에 나섰습니다.
✓ 2024년 9월 '올해의 브랜드 대상' 여행사 부문에서 2년 연속 수상하며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 2024년 7월 고용노동부 선정 2024년 강소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프리엠스 주가 전망 실적 배당금 25.5 (0) | 2025.05.05 |
---|---|
코스맥스엔비티 주가 전망 실적 분석 25.5 (0) | 2025.05.05 |
에코볼트 주가 전망 실적 재무 분석 정보 25.5 (1) | 2025.05.04 |
미트박스 주가 전망 실적 재무 정보 25.5 (0) | 2025.04.29 |
한일단조 주가 전망 재무 분석 25.5 (0) | 2025.04.29 |
댓글